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GAN
- CycleGAN
- UnderstandingDeepLearning
- BYOL
- Entropy Minimization
- ConMatch
- adamatch paper
- 최린컴퓨터구조
- conjugate pseudo label paper
- remixmatch paper
- 딥러닝손실함수
- dcgan
- SSL
- 백준 알고리즘
- Meta Pseudo Labels
- cifar100-c
- Pix2Pix
- tent paper
- WGAN
- mocov3
- shrinkmatch paper
- dann paper
- simclrv2
- GAN
- semi supervised learnin 가정
- shrinkmatch
- mme paper
- CoMatch
- Pseudo Label
- 컴퓨터구조
- Today
- Total
Hello Computer Vision
비전공생의 self-attention 코드 구현 본문
Transformer 구조에서 이루고 있는 self-attention 코드를 구현해보려고 합니다.
자료 참고 : ratsgo님 블로그 나동빈님 유튜브위키독스
기존 RNN 구조를 제거하였지만 여전히 인코더/디코더 구조는 유지하고 있으며 인코더와 디코더 두 곳에서 모두 self-attention이 이루어집니다.
self attention이란 Query, Key, Value값의 출처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.(모두 인코더에서 온다/ 디코더에서 온다)
첫번째로는 인코더 파트에서 self-attention이 이루어집니다. 보통 여러개의 레이어가 있고 레이어마다 각각 수행이 됩니다.
두번째로는 여러개의 인코더 파트에서의 attention score가 넘어오기 전 디코더 파트에서도 self-attention 이 이루어집니다.
세번째 attention은 query는 디코더파트이고 key, value는 인코더파트이기 때문에 self-attention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## 단어 수 :3 , 임베딩 : 8, head : 2개
word = 3
num_embedding = 8
num_head = 2
x = torch.rand((word,num_embedding))
print(x)
tensor([[0.3966, 0.7255, 0.1215, 0.0704, 0.3680, 0.3582, 0.9615, 0.8108],
[0.3549, 0.9033, 0.9023, 0.8536, 0.6446, 0.4078, 0.0238, 0.7116],
[0.0904, 0.0051, 0.0394, 0.9383, 0.0132, 0.0551, 0.7998, 0.6727]])
문장에서의 단어가 3개이며 단어의 차원을 8차원으로 설정하였고, 보통 단순 한개의 attention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여러개의 attention을 수행해
다양한 관점에서 attention score를 계산하므로 2개의 head로 설정하였다.
w_query = torch.rand(num_embedding,(num_embedding // num_head))
w_key = torch.rand(num_embedding,(num_embedding // num_head))
w_value = torch.rand(num_embedding,(num_embedding // num_head))
print('----W-쿼리----')
print(w_query)
print()
print('Shape : ', w_query.shape)
print('----W-키----')
print(w_key)
print()
print('Shape : ', w_key.shape)
print('----W-value----')
print(w_value)
print()
print('Shape : ', w_value.shape)
----W-쿼리----
tensor([[0.8031, 0.2731, 0.1293, 0.3592],
[0.7070, 0.1568, 0.9104, 0.0027],
[0.3775, 0.3731, 0.6413, 0.3449],
[0.4520, 0.2934, 0.3146, 0.9926],
[0.2310, 0.6461, 0.6517, 0.9183],
[0.2305, 0.0493, 0.2628, 0.2444],
[0.1998, 0.5768, 0.3460, 0.1216],
[0.4348, 0.0108, 0.4149, 0.6752]])
Shape : torch.Size([8, 4])
----W-키----
tensor([[0.8440, 0.7468, 0.7503, 0.0340],
[0.6032, 0.1522, 0.5199, 0.7309],
[0.2501, 0.4626, 0.2266, 0.2562],
[0.9972, 0.0717, 0.3277, 0.0338],
[0.8026, 0.4364, 0.2287, 0.8022],
[0.8233, 0.8306, 0.7460, 0.6580],
[0.9853, 0.0867, 0.2916, 0.4633],
[0.2422, 0.4650, 0.6861, 0.4646]])
Shape : torch.Size([8, 4])
----W-value----
tensor([[0.1142, 0.0705, 0.4170, 0.6105],
[0.4299, 0.7516, 0.0975, 0.9225],
[0.4545, 0.4371, 0.4890, 0.4384],
[0.0010, 0.6873, 0.0655, 0.3182],
[0.3343, 0.7860, 0.2122, 0.7984],
[0.6955, 0.3079, 0.5558, 0.6913],
[0.5279, 0.7236, 0.9419, 0.5269],
[0.9223, 0.6109, 0.1507, 0.5908]])
Shape : torch.Size([8, 4])
query, key, value 의 가중치들의 크기는 (임베딩 수, 임베딩 수/ head 수)로 이루어진다.
##query, key, value 만들어주기
query = torch.matmul(x, w_query)
key = torch.matmul(x, w_key)
value = torch.matmul(x, w_value)
print('---쿼리---')
print(query)
print()
print('---키---')
print(key)
print()
print('---value---')
print(value)
---쿼리---
tensor([[1.6214, 1.1068, 1.8149, 1.3461],
[2.2072, 1.2836, 2.5461, 2.4634],
[0.9833, 0.7953, 0.9158, 1.5544]])
---키---
tensor([[2.6069, 1.3864, 1.9134, 1.9302],
[2.9701, 1.8340, 2.1668, 2.0594],
[2.0317, 0.5874, 1.1258, 0.7786]])
---value---
tensor([[2.0400, 2.2653, 1.6052, 2.5141],
[2.0078, 2.7691, 1.2263, 2.9467],
[1.1168, 1.6894, 1.0071, 1.2432]])
가중치와 벡터 시퀀스를 이용해 query, key, value를 구해준다. 만약 이것이 인코더 파트에서의 self-attention이라면
이 모든 출처가 인코더파트에서 나왔으므로 self-attention이다.
##softmax 계산하기
softmax_score = (softmax((torch.matmul(query, key.T) / np.sqrt(num_embedding)), dim = -1))
softmax_score
tensor([[0.3312, 0.6080, 0.0608],
[0.2970, 0.6792, 0.0238],
[0.3612, 0.5416, 0.0972]])
이렇게 구해진 query 값과 key값을 내적하며(key값을 Transpose), 이 값을 차원의 루트를 씌워 나누어준다.
그리고 이 값들에 softmax를 취해준다. 결국 각 단어 시퀀스 벡터에 대해서 얼마나 영향 받는지 softmax 값을 구한다.
#self attention score 계산하기
torch.matmul(softmax_score, value) ## -> head가 2개이므로 concat 을 이용해 붙인다면 처음 만든 벡터 sequence와 크기가 같다.
tensor([[1.9643, 2.5367, 1.3385, 2.6999],
[1.9962, 2.5938, 1.3336, 2.7776],
[1.9328, 2.4822, 1.3418, 2.6248]])
softmax값에 value값을 구해 attention score값을 구해준다.
여기서 head가 2개이므로 다른 head에서의 attention score값을 concat해서 붙여주면 기존의 단어 벡터 임베딩과 같은 크기를 가지게 된다.
self-attention에서 학습 대상은 query, key, value값을 바꿀 수 있는 가중치 값들이다.
이 값들은 작업의 목적에 맞게(번역 or 분류) 업데이트 된다.
2023.3.22 추가)
Attention vs Self-Attention 비교해보기
Attention같은 경우 Decoder의 Query를 활용하고 Encoder에서의 key, value를 활용해 Attention score맵을 구하는 것이다.
self-Attention 같은 경우 Decoder 혹은 Encoder안에서 Query, Key, Value 값을 이용해 맵을 구하는 것이다. 즉 데이터 내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이다.
자세한 참고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WsQLdu2JMgI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gsYOGhpxDc&t=1402s